PDF문서2019 서울시립대학교 홍보 브로슈어[최종]_최적화.pdf

닫기

background image

06213000

 

SEOUL

02504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 
Tel. 6490.6114 www.uos.ac.kr 


background image

Contents

총장 인사말 

Message from the President 

02

혁신 2030 +

UOS Vision 

04

연혁

UOS  History 

06

UOS 강점

UOS Power 

10

숫자로 보는 UOS 

Number UOS 

14

대학소개 Colleges 

18

대학원소개 

Graduate Schools 

36

부속기관 

Subsidiary Organization 

42

총장직속기구 

Presidental Organization 

46

부설연구소 

Research Institute 

48

법인기관 

Corporate Body 

54

편의시설 

Facilities 

56

국제 교류 

Global Network 

58

캠퍼스 안내도 

Campus Map 

60

세계가 주목하는 서울
서울이 지원하는 대학

새로운 100년을 향한 도약의 발걸음

1918년 5월 1일 경성공립농업학교로 문을 연 서울시립대는 진리, 창조, 봉사의

교훈을 바탕으로 시대정신과 시민정신을 갖춘 경쟁력 있는 인재양성과 사회적

나눔 활동을 지난 100년간 지속적으로 실천해 왔습니다.

이제 세계가 주목하는 서울의 자부심으로 우뚝 선 서울시립대학교가 또 다른

100년을 향해 힘차게 나아갑니다.


background image

서울시립대학교 총장

서울시립대학교는 1918년 개교 이래 100년의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자랑스러운 4년제 공립대학입니다.

그동안 우리 대학교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인재양성과 학문연구를 통하여 국가와 사회 

발전에 다방면으로 기여해 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서울시의 든든한 지원을 바탕으로 전국 

국공립대학 최고 수준의 교육 투자와 장학 혜택 등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대표 대학으로 

성장했습니다.

이제  새로운  100년을  시작하는  우리  서울시립대학교는  교육이념인  진리,  창조,  봉사

를 바탕으로 지난 한 세기 동안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자양분 삼아 

우리가 계승하고 발전 

시켜나가야 할 시대정신을 이끌고, 미래에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사회적·경제적·문화적 

가치를 선도하는 대학으로 발돋움할 것입니다. 이로써 우리는 미래사회의 도시 문제 해결과 

지식기반 융복합 연구혁신을 선도하고, 지역사회와 세계를 이어주는 가교가 될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우리의 새로운 슬로건 “U, Our Star! 그대, 서울과 시대를 밝히는 별이 되어라” 처럼 학생과 

교직원, 나아가 동문들이 모두 함께 시대의 주인공으로서 서울시립대학교가 새로운 100년을 

향해 힘차게 도약할 수 있도록 뜨거운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새로운 100년,

서울시립대학교는

시대정신과 미래가치를

선도해 나가겠습니다.

03

02

Message from the President

총장 인사말


background image

05

04

UOS Vision

혁신 2030 +

 목표

 전략

 핵심 추진과제 02

해외 도시에

UOS 글로벌 캠퍼스 설치

 핵심 추진과제 03

수요자 중심의
차세대 대학행정정보화시스템 구축 

 핵심 추진과제 01
서울 빅데이터 연구소 설립

서울시

서울연구원

서울

기술연구원

서울

빅데이터

연구소

•도시문제, 민생현안 발굴
•개인정보, 보안문제 해결 제도화

•도시문제 기술적 Solution
•개인정보, 보안문제

해결방안 제도화

•도시문제 인문학적 Solution
•제도적 뒷받침, 정책 연구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기술 개발연구

빅데이터

조사·분석

빅데이터 활용

교육 및 인재양성

UOS

서울시립대학교

몽골

울란바타르

인도
델리

베트남
호치민

Effect. 1
서울시와 함께

 

도시수출의 첨병 역할

Effect. 2
해외도시

 

전문인력 양성

Effect. 3
서울시립대의

 

글로벌 역량 강화

자율적이고 도전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혁신

4차 산업혁명 선도의
기초학문 육성 기반
융합 연구 역량 강화

스마트하고 포용적인
행·재정 제도 개선 
및 인프라 확충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산·관·학 협력 활성화

글로벌 네트워크 및 지역사회와의
상생 협력 강화

미래사회와
도시 문제해결 인재양성

지식기반

융복합 연구혁신 선도

세계와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가치 나눔 선도

서울과 함께
시대정신과 미래가치를 선도하는 대학
서울시립대학교

 

정보인프라

재구축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성과관리

스마트한 
공간관리


background image

1918 ~ 2018

자라다_ 한 세기를 아우르다

처음 약속 그대로 쉼 없이 달려온 열정의 한 세기

서울시립대학교는 교육·연구·봉사 등 대학이 가진

모든 역량을 활용하여 서울시의 발전에 기여해 왔습니다.

2019 ~

새로운 100년을 향하여

따뜻한 시대정신으로 미래를 선도하며 서울을 대표하는 대학으로,

서울을 넘어 대한민국이 자랑스러워하는 대학으로

새로운 100년을 이어가겠습니다.

07

UOS of History

연 혁

1918

경성공립농업학교로 개교

1950

서울농업초급대학 설립 인가

1956

서울농업대학(4년제)으로 승격

1974 

서울산업대학으로 개편

1975

서울시 교육위원회에서

서울특별시로 관리 이관

1981

서울시립대학으로 교명 변경

1982

도시행정대학원(現 도시과학대학원) 개원

1987

종합대학교로 승격

1990

경영대학원 개원

1991

산업대학원(現 과학기술대학원) 개원

2000

세무전문대학원, 교육대학원 개원

2003

디자인전문대학원 개원

20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설립

2005

국제교육원 개원, 생활관 개관

2009

법학전문대학원 개원

2010

강촌수련원 개원

2011

국제학사 개관

2012

국제도시과학대학원 개원

2016

평생교육원 개원, 자유융합대학 신설

2018

도시보건대학원 설립

2018

서울시립대학교 개교 100주년

2019

새로운 100년의 시작

튤립나무(목백합나무) 

•수고(H) : 26m •흉고직경(DBH) : 109cm

•수령 : 약 106년생

- 55년(측정치 23.6cm)

- 44년(추정치 30.5cm: 평균 생장량 7mm)

- 3년(활엽수 나이테 형성기까지 기간)


background image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지식과 지혜를 추구하며

끊임없이 배우는 곳,

사회에 봉사하며 함께 어우러지며

건강한 일원이 되는 곳,

서울시립대학교는

시대정신과 시민정신을

가슴에 품고 끊임없이 성장하는

참다운 인재를 양성합니다.

시대정신과 미래가치를 교육으로 승화하다

서울이 만들고 

서울이 키우는 대학

진리·창조·봉사의

도량이 되다


background image

11

10

UOS Power

UOS 강점

서울시립대학교는 학생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윤리적 책임을 다하고

자신의 삶을 지혜롭게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합니다.

또한 취업경력개발센터의 「3단계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든 인재가 사회 곳곳에서 각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진로 선택을 위한

최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더 나아가 학생미래지원센터를 신설하여 학생들이 진로 문제 등 대학 생활의

다양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원스톱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생 성장 주기별 진로역량 개발에 앞장서겠습니다.

교육과 취업에 
강한 대학

3단계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4차 유지 취업률 88.7%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

1996년 국내 최초 

도시과학대학 설립

학생미래지원센터 신설
 - 학생 미래설계 지원 체계 확립

4차 산업 시대를 선도하는 

빅데이터 기반 연구역량 강화로 

미래형 도시건설 전문가 양성

서울시립대학교는 급변하는 도시 서울의

다양한 문제를 연구하며 서울과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이제 서울시립대학교는 4차 산업 시대를 맞아 발생되는

중요한 사회, 경제, 문화, 기술적 문제들을

서울 빅데이터 연구소를 통해 조사•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시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데이터 기반 도시과학 연구의 허브로서 거듭나고자 합니다.


background image

13

12

UOS Power

UOS 강점

서울시립대학교는 교환학생, 글로벌 인턴십, 해외단기 파견 프로그램 등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2016 US 뉴스 앤드 월드리포트’ 국내 대학 순위 9위,

영국 타임스 ‘2016 아시아 대학평가’ 아시아 순위 49위(국내 순위 7위)에 오르며

명실공히 글로벌 교육기관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습니다.

나아가 UOS 글로벌 캠퍼스 설립을 통해 해외도시 협력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서울시립대의 세계화를 추진하겠습니다.

세계와 소통하는 대학 

글로벌 역량 강화 프로그램
57개국 305개 대학과 교류

사회 변화를 

이끌어가는 대학

사회공헌팀을 통한 

활발한 국내외 봉사활동

UOS 글로벌 캠퍼스 설립
 - 시대인의 세계화

지역사회 문제 해결 

전문가 양성

서울시립대학교는 2012년, 서울시의 지원으로

국공립대 최초로 반값 등록금을 실현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회공헌팀 신설로 학습 멘토링, 다문화 멘토링, 해외 봉사 활동 등

국내외 다양한 사회봉사 활동을 펼침으로써 공립대학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고 있습니다.

지역사회 전문가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역량있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 전문가를 양성하고, 사회적 경제 분야의 산관 협력을 주도하여

서울시와 함께 사회 변화를 이끌어가는 대학으로 나아갑니다.


background image

중심이 되다
서울과 동행하다

시대정신을 이끌어 온 서울시립대학교,
더욱 빛나는 내일을 향해 도약합니다.

2016 전국 국공립대 청렴도 평가 1위

국공립대 최초 반값 등록금 실현

2019년 3월 기준 57개국

305개 유수 대학과 교류협정 체결

2019년 기준 서울시립대학교

인문사회계열 학과 한 학기당 등록금

2012년 서울시의 지원으로

국공립대 최초 반값 등록금 실현

2018년 개교 100년을 맞은

서울시립대학교

배움과 나눔의 100년

2016 US 뉴스 앤드 월드리포트

국내 대한 순위 9위

개국

만원

영국타임즈

2015 아시아 대학평가

아시아 순위 49위, 국내 순위 7위

15

14

Number UOS

숫자로 보는 UOS


background image

전국 최고 수준 장학금 수혜율

2018년 대학정보 공시 기준 장학금 수혜율은 71.86%에 달합니다.

신입생 충원율

국내 유일의 4년제 공립대학으로

서울시민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높은 선호도

2018년도 대학정보 공시 기준 유지취업률

서울소재 주요대학 5위

높은 교육비 환원율

전국 국공립대학 중 최상위 수준의

교육에 대한 투자와 학생들에 대한 지원

%

%

%

%

17

16

Number UOS

숫자로 보는 UOS


background image

11

11

U, Our Star!
그대, 서울과 시대를 밝히는
별이 되어라 

서울시립대학교는 전문 전공지식은 물론

전공 분야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융복합 교육을 통해

통합적 지성과 감성을 가진 미래 인재를 양성합니다.

College
대학


background image

•행정학과 

http://puadmi.uos.ac.kr 02.6490.2010~1

•국제관계학과 

http://doir.uos.ac.kr 02.6490.2035~6

•경제학부 

http://economy.uos.ac.kr 02.6490.2051~2

•사회복지학과 

http://socialwelfare.uos.ac.kr 02.6490.2075~6

•세무학과 

http://taxation.uos.ac.kr 02.6490.2095~6

정경대학

College of 

Public Affairs & Economics

자유와 정의,
그 중심에 서다

우수한  학생과  훌륭한  교수진으로  구성된  정경대학은  현대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정치·경제·사회적 문제를 냉철하게 분석하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1


background image

•경영학부 

http://biz.uos.ac.kr 02.6490.2210~3

경영대학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세계를 무대로 뛰는,
경영전문가를 꿈꾸다 

세계무대를 향해 지속적 발전을 거듭하는 경영대학은 경영학부를

두고 있으며, 비즈니스 성과에 관한 재무, 회계 영역의 지식 습득을

위주로 하는 비즈니스 성과트랙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재무,  회계  외의  기능적  경영지식을  통합적  관점에서  습득하도록

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트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3


background image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http://ecehp.uos.ac.kr 02.6490.2310~1

•화학공학과 

http://uosce.uos.ac.kr 02.6490.2360~1

•기계정보공학과 

http://mie.uos.ac.kr 02.6490.2380~1

•신소재공학과 

http://mat.uos.ac.kr 02.6490.2400~1

•토목공학과 

http://civil.uos.ac.kr 02.6490.2420~1

•컴퓨터과학부 

http://cs.uos.ac.kr 02.6490.2440~2

공과대학

College of 

Engineering

공학과 과학에 대한
새로운 도전이 시작된다

미래의 공학을 이끌어갈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는 공과대학은 공학 및

과학의 기초이론을 다지고 응용기술을 심화시켜 산업현장의 생산성

향상과 기술 발전에 기여할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첨단 공학 및

과학 기술 분야에 대한 도전을 위해 창의적이고 열정을 가진 인재를

육성합니다.

25


background image

•영어영문학과 

http://english1.uos.ac.kr 02.6490.2510~1

•국어국문학과 

http://korean.uos.ac.kr 02.6490.2530~1

•국사학과 

http://koreanhistory.uos.ac.kr 02.6490.2550~1

•철학과 

http://phil.uos.ac.kr 02.6490.2570~1

•중국어문화학과  http://chinese.uos.ac.kr 02.6490.2586~7

인문대학

College of 

Humanities

보편적 가치를 탐구하는
기초학문으로 미래의 
기반을 다지다

인문대학은 문화와 역사 안에서의 인간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갖고

새로운 법칙과 가치를 창조하며 사회와 인류를 위해 봉사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인간의 삶과 그 터전인 세계의 보편적 진리와 가치를 탐구하고, 모든

사람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더불어 사는 세계시민사회의 창출에 기여

하게 될 지혜롭고, 창의적이며, 박애적인 지성인을 육성합니다.

27


background image

•수학과 

http://openmath.uos.ac.kr 02.6490.2606~7

•통계학과 

http://stat.uos.ac.kr 02.6490.2625~6

•물리학과 

http://physics1.uos.ac.kr 02.6490.2640~1

•생명과학과 

http://lifescience.uos.ac.kr 02.6490.2660~1

•환경원예학과 

http://envhorti.uos.ac.kr 02.6490.2680~1

자연과학대학

College of 

Natural Sciences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
탐험가 정신으로 시작하다

21세기 국가성장 동력은 과학기술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자연과학대학은 세계적 수준의 인력을 양성하고 연구능력을 갖추고자

합니다. 수학과, 통계학과, 물리학과, 생명과학과, 환경원예학과로 구성

되어 있으며 학생들에게 창조적 미래 과학기술을 열어줄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9


background image

•도시행정학과 

http://urbanadmin.uos.ac.kr 02.6490.2710~1

•도시사회학과 

http://usocio.uos.ac.kr 02.6490.2730~1

•건축학부(건축공학 전공)  http://ae.uos.ac.kr 02.6490.2753~4

•건축학부(건축학 전공)  http://archi.uos.ac.kr 02.6490.2751~2 

•도시공학과 

http://nymph.uos.ac.kr 02.6490.2790~1

•교통공학과 

http://transport.uos.ac.kr 02.6490.2815~6

•조경학과 

http://lauos.or.kr 02.6490.2835~6

•환경공학부 

http://env.uos.ac.kr 02.6490.2853~6

•공간정보공학과 

http://geoinfo.uos.ac.kr 02.6490.2880~1

도시과학대학

College of 

Urban Sciences

나는 지금 도시과학분야
전문가로 변신한다

도시과학대학은 다양하고 복잡한 도시의 제반 현상에 관한 현실적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실천학문을 교육·연구합니다.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은 1997년에 출범하여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문제해결을 위한 Think-tank 역할을 수행하고 도시과학분야에

대한 교육·연구의 메카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도시의 사회, 행·재정, 계획, 설계, 공학 분야에 있어서 서구 논리의

편중을 지양하고 우리의 전통과 현실을 고려한 한국적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학제간 연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31


background image

•산업디자인학과 

http://design.uos.ac.kr 02.6490.2906~7

•환경조각학과 

http://sculpture.uos.ac.kr 02.6490.2916~7

•음악학과 

http://music.uos.ac.kr 02.6490.2930~1

•스포츠과학과 

http://sports.uos.ac.kr 02.6490.2945~6

예술체육대학

College of 

Arts & Physical Education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창조적 문화 리더가 되다

인류의 문화적 생활 향상을 기초로 한 예술·체육영역의 이론과 실무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 토론하여 예술·체육 분야를 이끌어갈 지도자

적인 인격을 완성합니다. 전문인으로서의 자기계발을 통한 창조적 사고

능력을 기르고 국가사회 및 인류문화와 더불어 삶의 질 향상에 공헌할

지도자를 육성합니다.

33


background image

•자유전공학부 

http://libe.uos.ac.kr 02.6490.2121

•융합전공학부 

http://cds.uos.ac.kr 02.6490.2126~7

•교양교육부 

http://liberal.uos.ac.kr 02.6490.5202~3

글로벌외국어교육센터  http://genglish.uos.ac.kr 02.6490.5223

자유융합대학

College of Liberal Arts 

and Cross-Disciplinary Studies

심도 있고 폭넓은
융·복합교육으로
21세기형 인재를 양성하다

서울시립대학교 자유융합대학은 교양교육을 통하여 폭넓고 심도 있는

기초소양을  함양한  바탕  위에서,  통섭형  전공교육을  통하여  학문과

학문의 소통과 교차 그리고 융합에 적극 참여하고 이를 주도함으로써

새로운 지식과 전문성을 창출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5


background image

보다 넓게 바라보고 
보다 깊이 사유하는 전문인 

대학원은 기초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이론과 실무지식을 갖춘 프로페셔널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분야별 최고 수준의 전문가 양성,

글로벌 교육시스템 활성화를 통한 인재 발굴,

최상의 교육 커리큘럼 구현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과 창의력, 응용력을 갖춤으로써

국가발전에 기여합니다.

Graduate School 
대학원


background image

• 석·박사학위과정 _ 도시행정학과,  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국제관계학과,  경영학과,  경제학과,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국사

학과, 철학과, 도시사회학과, 조경학과, 환경원예학과, 물리학과, 생명과학과, 통계학과,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환경

공학과,  화학공학과,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도시공학과,  교통공학과,  신소재공학과,  기계정보공학과,  건축학과,

공간정보공학과, 컴퓨터과학과, 스포츠과학과, 법학과

•석사학위과정 _ 중국어문화학과, 수학과, 환경조각학과, 음악학과, 환경공학과(학·연), 화학공학과(학·연)

•박사학위과정 _ 재난과학과(학과간), 조형디자인학과

대학원은 기초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심오한 학문적 이론과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를 양성함을 목표로 합니다. 일반대학원에는 석사학위과

정 34개 전공과 박사학위과정 32개 전공이 개설되었으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학연 협동과정으로 환경공학과와 화학공학과, 에너지환

경시스템공학과에 석사 및 박사과정이 설치되어 있고, 학과 간 협동과정으로 나노공학과와 재난과학과의 박사과정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일반대학원 
http://graduate.uos.ac.kr   02.6490.5002

석사학위과정 _ 공공환경디자인 전공, 시각디자인 전공, 일러스트레이션 전공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은 서울특별시가 지원하는 공립대학교의 대학원으로서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전문 디자이너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해외 대학과의 교류를 통한 글로벌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디지털과 아날로그 디자인을 균형있게

학습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갖추었습니다. 아울러 서울특별시와의 관·학 연구시스템과 기업과의 산·학 교육시스템을 동시에 도입해

이론과 실무 능력을 함께 갖춘 인재를 양성합니다.

디자인전문대학원

http://graduate.uos.ac.kr   02.6490.5002

• 석사학위과정 _ 법학전문

풍부한 교양과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법조인, 법 이론적 지식과 실무적 역량을 겸비한 법조인, 국가와 지역사회에 봉사하고 헌신하는

법조인, 세계화 개방화시대의 복잡·다양한 국내·외의 법적 분쟁을 효율적·전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법조인을 양성하는 데에 기본적인

교육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법 분야의 훌륭한 교수진과 최첨단 교육시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과정, 국내외 전문기관과 연계한 충실한 실습과정 등을 완비하고 최상의 법학 교육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법학전문대학원 

http://lawschool.uos.ac.kr   02.6490.5068~7

• 석·박사학위과정 : 세무학

세무전문대학원은 세무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과정의 운영을 목표로 2000년 3월 1일 개원하였습니다. 현재 석사학위

과정과 박사학위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100여 명에 이르는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습니다. 세무전문대학원은 조세의 법적인 기반과 원리를

탐구하는 세법 분야와 조세의 경제적 파급효과,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조세정책 분야 그리고 조세의 미시적 분석과 실증을 추구하는 조세

전략 및 세무회계 분야가 모여 있습니다. 또한 조세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위해 지방세 분야는 물론 국제조세 분야를 포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전공이 모여 세무학을 연구하고 공부하는 것은 다른 대학원에서 감히 따라올 수 없는 세무전문대학원만의 큰 특징이며 장점입니다.

이러한 세무전문대학원만의 장점으로 인해 비교적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국내 최고의 전문대학원이 될 수 있었습니다. 세무전문대학원은

단지 국내 최고에 만족하지 않고 세계적으로도 높은 평판을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면 국내가 아닌

세계 최고의 전문대학원이 될 것입니다.

세무전문대학원 
http://gtax.uos.ac.kr   02.6490.5031~2

39

38

Graduate School

대학원


background image

• 석사학위과정 _ 도시행정학과, 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도시계획학과, 교통관리학과, 문화예술관광학과, 건축공학과, 조경학과, 환경

공학과, 방재공학과, 공간정보공학과, 부동산학과

도시과학대학원은 이론과 실제를 접목시킨 도시문제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1982년에 국내 최초로 설립된 특수대학원으로서 일반인과

공무원을 재교육하여 전문인력으로 양성하고 있습니다. 석사과정으로 도시행정학과, 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도시계획학과, 교통관리학과,

문화예술관광학과, 건축공학과, 조경학과, 환경공학과, 방재공학과, 공간정보공학과, 부동산학과 등이 있습니다. 1999년 4월 23일부터

도시행정대학원에서 도시과학대학원으로 확대·개편되어 도시과학 분야의 종합 전문교육기관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도시과학대학원 
http://gurbans.uos.ac.kr   02-6490-2705

• 석사학위과정 _ 경영학과(회계, 재무, 인사조직, 마케팅, 오퍼레이션스, 경영정보, 국제경영 전공영역)

경영대학원은 1990년에 개원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경영학석사(MBA)과정과 공기업(서울교통공사, 서울시설공단, 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인천교통공사, 경기도시공사, 한국마사회 등) 직원을 대상으로 한 계약학과 경영학석사(SEMBA) 과정을 개설

하고 있습니다. MBA 과정은 4학기 야간과정으로 회계, 재무, 인사조직, 마케팅, 오퍼레이션스, 경영정보, 국제경영 총 7개 전공 영역을

두고 있습니다.

경영대학원 
http://mba.uos.ac.kr   02.6490.2204

석사학위과정 _ 화학공학과, 전자전기공학과, 신소재공학과, 환경원예학과, 토목공학과, 컴퓨터과학과

과학기술대학원은 현대 산업기술 개발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여 창의력과 응용력을 겸비한 기술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1991년에

개원하였습니다. 졸업생들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석사과정으로 화학공학과, 전자전기공학과, 신소재공학과,

기계공학과, 환경원예학과, 토목공학과 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과학기술대학원
http://gengineer.uos.ac.kr   02.6490.2304, 2306

석사학위과정 _ 국어교육 전공, 영어교육 전공, 수학교육 전공, 역사교육 전공, 교수학습·심리상담 전공, 평생교육·인재개발 전공

교육대학원은 서울시립대학교 설립 정신에 입각하여 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무 및 실제응용 방법을 과학적으로 교수하고 연구하여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2000년에 개원하였습니다. 석사과정으로 국어교육 전공, 영어교육 전공, 역사교육

전공, 수학교육 전공, 교수학습·심리상담 전공, 평생교육·인재개발 전공이 있으며 각 전공별 연구과정이 있습니다.

교육대학원

http://gedu.uos.ac.kr   02.6490.2504

석사학위과정 _ 도시보건역학 전공, 도시보건정책관리 전공, 도시사회건강 전공

도시보건대학원은 서울시민의 건강수준 향상 및 건강 불평등 해소에 기여하고, 공공보건의료의 지도적 역할 및 공공보건의료 발전에

이바지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2018년에 개원하였습니다. 석사과정으로 도시보건역학 전공, 도시보건정책관리 전공, 도시사회건강

전공이 있으며 각 전공별 연구과정이 있습니다.

도시보건대학원

http://gsuph.uos.ac.kr   02.6490.6751

41

40

Graduate School

대학원

석사학위과정 _ 글로벌건설학과(글로벌건설경영 전공), 첨단녹색도시개발학과(첨단녹색도시개발 전공),
국제도시개발프로그램학과(도시행정 및 계획 전공, 국토개발정책 전공, 글로벌환경정책 전공, 글로벌인프라 계획 및 개발)

국제도시과학대학원은 서울시립대학교의 도시과학 특성화를 바탕으로 해외건설과 도시수출에 관련된 글로벌건설, 첨단도시개발 및 정책

전반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심오하게 연구하여 서울시와 국가 및 인류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유능한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

니다. 글로벌건설학과와 첨단녹색도시개발학과는 국토교통부 및 서울시 공무원, 공기업 및 해외건설업체 등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운영되

며, 국제도시개발프로그램(International Urban Development Program, IUDP)은 개발도상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도시행정 및 계획 석사과

정(Master of Urban Administration and Planning, MUAP), 국토개발정책 석사과정(Master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MURD),

글로벌환경정책 석사과정(Master of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Policy, MGLEP), 글로벌인프라계획 및 개발(Master of Infrastructure

Planning & Development, MIPD)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학원 과정에 참여하는 내국인과 외국인 간의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

어 교육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도시과학대학원

http://gsd.uos.ac.kr   02.6490.2903


background image

더 밝은 미래를 향한 
꿈을 꽃 피웁니다 

서울시립대학교는 학생 및 교직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학내 다양한 부속기관을 갖추고 있습니다.
중앙도서관·박물관·전산정보원
대학보건소·국제교육원·사회복지관
대학언론사·체육관 등 다양한 부속기관을
통해 대학구성원의 능력과 전문지식을
함양하는 데 힘을 쏟고 있으며
교육활동 지원 및 건강 복지 구현을 통해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 중앙도서관은 1960년 장서 15,000권, 건평 383㎡으로 개관했습니다. 1998년 9월에는 전자정보실을 갖추고, 2006년에는

넓은 휴게공간으로 쾌적한 열람환경을 제공하고 지하 1층 자료열람실을 통해 자료수장 공간의 확보와 더불어 정기간행물 열람의 편의를

도모하였습니다. 또한 국내외 학술정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서관 자동화시스템 및 전자도서관 시스템을 갖추고

전자저널, 웹DB에 대한 통합검색 및 연계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One-Stop 서비스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2008년 10월, 법학관 4~6

층에 분관으로 개관한 법학전문도서관 및 2011년 3월, 미래관 3층에 개관한 경영경제전문도서관에서는 주제전문 학술정보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는 노후화된 중앙도서관을 단계적으로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간으로 거듭나 학생들의 인기공간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습니다. 2018년 8월에는 100주년기념도서관을 개관하여 대학구성원 및 지역주민들을 위한 복합적 문화공간으로서의 도서관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중앙도서관

http://library.uos.ac.kr   02.6490.6520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은 소중한 문화유산을 수집·전시하여 학생들의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시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기능하기 위하여,

1984년 9월 4일에 개관하였습니다. 최근에는 근현대 도시사, 생활사 전문 박물관으로 서울학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서울의 근현대 도시

역사와 문화를 담은 전시를 매년 개최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8년 9월 1일에는 개교 100주년을 맞이하여 서울시립대학교 역사관(100주년

기념관 가동 4층)을 개관하였습니다. 이곳에서는 학교 100년의 역사를 담은 학교사 자료와 구교사 복원 모형, 교직원&동문들의 인터뷰

영상을 전시하고 있으며, 학교 역사를 간략히 소개하는 영상을 관람할 수 있는 영상실이 있습니다. 현재 박물관에서는 교직원, 동문, 교내

기관으로부터 학교 역사와 관련된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있습니다.

박물관

http://museum.uos.ac.kr   02.6490.6586~7, 6589

대학보건소에서는 건강한 대학생활을 위하여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관리 사업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학교보건 대상자인 학생과 교직원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그들의 질병을 관리하고, 건강유지·증진을 위하여 교의진료, 투약, 상담, 상처치료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이용편의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학생회관 2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진료실 및 안정실을 구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건진료사업의 취지에 따라 모든 진료는 무료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대학보건소

02.6490.6590~1

서울시립대학교 체육관은 학생들의 효율적인 체육수업과 교수·직원 및 서울시민의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고 건전한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통한 건강증진과 운동처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체력증진 및 건강에 관련한

정보와 시스템 제공, 다양한 스포츠 활동 지도 및 외부 행사 지원, 교직원·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성분 분석 및 운동 처방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실내체육관, 웰니스센터(휘트니스룸, 스쿼시룸, 운동처방실, 다목적실, 관리실, 남녀 샤워실, 화장실), 실외테니스장

(인조잔디 코트(2면), 클레이코트(1면), 운동장(인조잔디축구장, 육상트랙, 농구코트(2면), 족구장) 등 다양한 체육시설을 통해 학내 구성원들의

체계적인 건강스포츠 기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체육관·웰니스센터

http://physical.uos.ac.kr   체육관 02.6490.5165~6   웰니스센터 02.6490.5171~3

43

Subsidiary 
0rganization 
부속기관


background image

생활관은  국제학사(신관),  생활관(구관),  부대시설로  구성되며  민주주의  질서  및  연대의식과  리더십을  배양,  공동체  생활을  훈련하는

장으로서 학술 교류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해외 유수 대학들과의 학술 및 학생 교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국제학사(신관)는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6,000㎡로 202명을 수용하며 생활관(구관)은 지하 2층, 지상 7층, 연면적 9,254m2로 582명을 수용하고 있습니다. 부대시설로는

구내식당(카페테리아), 편의점, 세미나실, 체력단련실, 세탁실(남, 여), 야외라운지 등을 운영하며 공동현관을 중심으로 두 건물과 부대시설이

모두 연결되어 편의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생활관
http://dormitory.uos.ac.kr

   02.6490.5186~7

국제교육원은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을 운영 및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유수 대학과 협정체결을 비롯한

교류협력 강화를 바탕으로 교환학생 프로그램, 복수학위 프로그램, 어학연수, 글로벌인턴십,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등 현지

에서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라운지 운영을 통하여 캠퍼스 내에서도 자유롭게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국제교육원
http://kiice.uos.ac.kr   02.6490.6652~6

전산정보원은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IT 고도화를 통해 세계 속의 대학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재학생 및 교직원의 교육·연구를

지원하며 학사 및 일반 행정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대학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 운영함으로써 대학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정보기술 교육환경의 고도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u-Campus 실현을 위한 정보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교내 어디서나 모바일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국내 대학 최고의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여 2008년 12월에 개통하였으며,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의 극대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21세기 세계 속의 대학으로서 경쟁력 강화 및 세계속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연구환경

첨단화, 학사 및 일반행정의 효율성 극대화, 정보기술자원의 효율적 공유 및 활용, 서울시민의 대학으로서 대시민 정보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첨단 지식의 요람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전산정보원
http://ithelpdesk.uos.ac.kr

   02.6490.6602~17

대학언론사는 1997년 9월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교내 언론기구를 통합하여 출범하였습니다. 산하에는 대학신문사(서울시립대신문), 영자

신문사(The UOS Times), 대학방송국(JBS) 총 3개의 부서가 있습니다. 현재 40여 명의 학생기자와 방송국원들이 주축이 되어 대학신문 및

영문매거진 발행, 교내방송 송출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교내·외 소식을 전달하고 우리대학의 살아있는 역사를 기록하는 언론

기관의 기본적 사명 수행과 더불어 대학 문화 창달을 위해 창조적이고 발전적인 연구와 도전을 지속함으로써 대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대학언론사
http://uospress.uos.ac.kr   02.6490.2490~1

종합사회복지관은 서울시민에 봉사하는 대학이라는 서울시립대학교의 설립 취지에 따라 중랑구 신내동 지역에 개관하였습니다. 사회문제

해결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명감과 지역사회 복지구현의 일환으로 1997년도에 개관하게 된 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학과에서

습득한 전문적 이론을 사회복지관이라는 실제 현장을 통해 구현한다는 측면에서 학과의 유용한 실습장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첫째, 사회복지 실습기능의 체계화, 둘째, 사회복지정책개발과 건의, 셋째,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전 문화를 통한 사례모형 개발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또한 지역사회 주민의 자립능력배양과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와 더불어 지역사회복지의 중심축을 담당하는

지역사회복지센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회복지 분야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사회복지관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종합사회복지관

https://uoscc.or.kr

   02.3421.1988

서울시립대학교 평생교육원은 1997년에 설립된 서울시민대학의 경험과 철학을 기반으로 새로운 평생교육 시대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서울시민대학의 조직과 강좌를 발전적으로 확대 개편함으로써 2016년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전문가 과정과 시민 교양과정의 콘텐츠를

더욱 내실화하고, 학점은행제와 최고위과정, 그리고 찾아가는 시민학교, 시민특강 등의 다양한 강좌 영역을 새롭게 개설하여 더 넓은 영역의

평생교육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내용과 형식을 확충하였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 평생교육원은 차별화된 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와 개발, 강의와 평가에 이르는 전 교육과정에

걸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다양한 수요와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 할 것입니다.

평생교육원

http://edu.uos.ac.kr

   02.6490-6502~6

창업지원단은 체계적이고 전문성 있는 창업 지원을 위해 2018년 4월 5일 산학협력단에서 독립하여 창설되었습니다. 창업지원단은, 창업실습

교과목 확대와 창업경진대회, 피칭데이, 글로벌 창업 탐방 등 창업 보육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창업동아리 활성화를 통해 2018년

250명의 예비창업자가 교내·외에서 우수한 창업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00주년 기념관 2층에는 스타트업 라운지 및 예비 창업

시설을 설치하고, 5층에는 시민창작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와 함께 세운·용산캠퍼스를 운영하며 지역 연계 창업 기회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서대문구에 위치한 창업보육센터에서는 31개 기업 보육을 통해 글로벌 창업 엑셀러레이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도 창업지원단에서는 혁신 창업과, 메이커 창업, 글로벌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습니다. 특히 학생, 교원,

인근 지역 예비창업자 및 기 창업자 지원을 강화하고, 서울특별시 및 민간기업과 국내·외 교류와 협력을 모색하여 UOS start-up 르네

상스를 이끌어 낼 것입니다.

창업지원단

http://startup.uos.ac.kr

   02.6490-6741~6

45

44

Subsidiary Organization

부속기관


background image

인권센터에서는 학내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심리상담·검사를 비롯하여 인권침해

및 성희롱·성폭력 상담·사건처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권센터

http://hrc.uos.ac.kr

•심리상담실 _ 개인·집단 상담, 온라인상담, 심리검사, 정신건강 캠페인 등

[tel. 02-6490-6270, E-mail. counsel@uos.ac.kr, 학생회관 210호]

•인권상담실 _ 인권침해 상담 및 사건처리, 인권 및 장애인식개선교육, 인권실태조사

및 인권침해 예방 지침서 발간 등
[tel. 02-6490-6292, E-mail. humanrights@uos.ac.kr, 학생회관 202호]

•성희롱·성폭력상담실 _ 성희롱·성폭력 상담 및 사건처리, 폭력예방교육, 캠페인 및

성희롱·성폭력 예방(대응) 지침서 발간 등
[tel. 02-6490-6290, E-mail. withuos@uos.ac.kr, 학생회관
202호]

•장애학생지원실 _ 장애학생 학습지원, 생활지원 및 보조기기와 휴게공간 지원 등

[tel. 02-6490-6273, 6277(장애학생지원실), E-mail. support@uos.
ac.kr, 학생회관 210호]
(장애학생휴게실 : 02-6490-6275, 법학관 101호)

Presidental Organization 
총장직속기구


background image

내일을 위한
빛나는 가치를 연구합니다 

서울시립대학교는 대학의 연구역량을 키워
연구중심 대학으로 발전해 나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도시과학연구원, 산업경영연구소,
법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소,
산업기술연구소, 정보기술연구소, 자연과학연구소,
서울학연구소, 반부패시스템연구소,
도시방재안전연구소, 조세재정연구소,
양자정보처리연구단, 도시홍수연구소 등
학문 제반 분야의 다양한 연구소를 설립하여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산업 및
문화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세계 속에서 빛나는
서울과 서울시립대학교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도시과학연구원은 1976년 연구소 설립 이후 도시과학 중심의 특성화 대학으로 육성·발전시키기

위하여, 1998년 도시과학연구원으로 통합하여 현재 19개의 연구센터가 있습니다. 도시계획, 건축,

조경, 교통, 환경, 디자인, GIS, 노인, 문화산업 등 각종 도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융·복합하여 도시문제를 연구하고, 산학협동의 촉진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의

제도 및 정책의 수립과 운영에 도움을 주는 두뇌집단(Think-Tank)의 역할을 제공하고 있으며,

서울시 공무원 및 서울시립대 학생 교육과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물의 성과확산을

위해 국제세미나, 학술대회 개최 및 지원을 하고 있으며, 해외 도시 관련 연구기관과 협약 및 학술

교류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과학연구원에서는 도시과학국제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 IJUS)을 발간하여 세계 1,000여개 대학과 연구기관에 배포하고

있어 국내·외 도시과학 관련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도시과학연구원

http://usi.uos.ac.kr   02.6490.5301

산업경영연구소는 1982년 설립된 이래 경영분야의 종합 연구기관으로서 그 명성을 널리 떨치고

있습니다. 학술대회 개최, 산학협동에 기초한 학술용역의 수행 등을 통하여 활발한 연구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운영, 사업 타당성, 재정 및 산업정책 등의 여러 분야에서 전문

적인 연구 및 자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산업경영연구소

http://campus.uos.ac.kr/riim   02.6490.5328

법학연구소는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과  더불어,  법학과  법제,  법실무에  관한  다양하

고 폭 넓은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세법이나 도시법 분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 분야에 특화하여 법학연구소 내에 조세법센터와 도시와법센터를 두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울특별시가 설립한 법학연구소의 위상과 책무에 걸맞게 선진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인식시키고 교육하기 위한 시민법교육센터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는 연간 각종의 학술대회를 직접 주관하거나 국내·외 유수의 학술단체와 여기서

발표되는 수준 높은 연구논문과 일반 투고논문을 엄선하여 학술지인 『서울法學』 및 『租稅와 法』의

발간사업도 이어오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http://lawres.uos.ac.kr   02.6490.5330

49

Research Institute
부설연구소


background image

사회과학연구소는 서울시립대학교 정경대학 부설연구소로 정경대학 소속인 행정학과, 국제관계학과, 경제학부, 사회복지학과, 세무학과의

교수님들과 연구원들을 구성원으로 행정, 국제문제, 경제, 사회복지, 세무 등의 문제에 관한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

니다. 또한 현대 사회 문제의 분석 및 해결책 제시를 목적으로 한 관련 연구 용역 사업과 국제학술회의 개최를 통하여 국가 및 서울특별시

등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연구 및 자문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내외 관련 단체와 활발히 교류하고

있습니다.

사회과학연구소
http://social.uos.ac.kr   02.6490.5335~6

산업기술연구소는 창조적인 연구활동을 통한 기술개발과 전문기술인력의 양성지도로 대학의 이론과 실제의 균형발전 및 산업·과학기술

분야의 학문적 연구와 산학협동의 증진에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용역 사업, 학술논문집 발간, 국제학술 심포지엄 개최, 관련 연구단체와의

학술발표회 개최 및 지원, 해외 연구기관과의 학술교류 활동 등 다양한 연구활동 및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산업기술연구

발전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산업기술연구소
02.6490.5350

도시인문학연구소는 철학, 역사학, 문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문학적 접근을 통해, 서울시립대학교의 특성화 영역인 도시과학 분야의

연구에 가장 근본적인 토대라 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도시라는 현대적 공간과 인간의 삶의 관계에 대해 깊이 연구함

으로써 ‘도시인문학’이라는 새로운 특화영역을 개척하고 발전시키는 동시에, 글로벌폴리스를 비롯한 전 세계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도시인문학연구소
http://ihuos.uos.ac.kr   02.6490.5338

최첨단 정보기술 분야의 기초 및 응용연구와 학부 및 대학원 학생들의 교육 및 연구 참여, 산업체 기술자 및 기술공무원들의 위탁교육,

산학연 공동 프로젝트 수행과 운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지능형 로보틱 시스템연구센터와 서울GRID센터 등, 서울슈퍼컴퓨터센터,

SPID센터 등 총 4개의 센터로 구성되어 산업체에 대한 각종 기술의 연구를 지원하고 산업체 기술 인력에 대한 주기적인 교육과 학술 발표회

개최와 간행물 발간, 국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보기술연구소

http://itech.uos.ac.kr   02.6490.5353

자연과학연구소는 자연과학 발전을 위한 학술활동 및 연구를 통하여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2007년 6월 설립되었습니다.

계산과학연구센터, 수리과학 및 통계학연구센터, 도시환경식물연구센터, 성인질환연구센터를 두어 각종 학술기관, 공공기관, 산업체의 학술

및 기술 용역사업을 비롯하여, 국내·외 관련 연구기관과의 협동연구, 학술교류와 국가과학기술 정책에 관한 지도와 자문활동 등 활발한

연구사업과 학술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자연과학연구소

02.6490.5360

서울학연구소는  ‘서울학’을  육성,  확산하기  위해  정도  600년을  계기로  1993년  서울특별시의  지원  아래  서울시립대학교  부설로  설립

되었습니다. ‘서울학’은 서울의 역사, 장소, 사람, 문화 등을 만들어내고 변화시키는 과정과 동력을 탐구하여 서울이 지닌 도시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현재의 서울을 만들어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여러 학문분야와의 융복학적 연구를 통해 서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발전시켜 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서울학연구소

http://seoulstudies.uos.ac.kr   02.6490.5363

51

50

Research Institute

부설연구소


background image

반부패시스템연구소는 2000년 서울시립대학교에 설치된 서울특별시 시책연구소로서 국내 유일의 반부패 관련 연구기관입니다. 설립 이후

UN과의 반부패심포지엄 공동 개최, OPEN SYSTEM의 해외홍보 등을 통해 서울특별시의 투명성 제고 노력을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하여

왔습니다. 또한, 우리 사회의 각종 부패현상을 연구·분석하고 각 분야의 반부패정책 대안들을 제안하는 한편, 매년 정기적인 국내·외

반부패세미나의 개최, 반부패학술상 시상 등을 통해 보다 투명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습니다.

반부패시스템연구소
http://sit.uos.ac.kr   02.6490-5371~3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조세재정연구소는 2003년 국내 최초로 설립된 지방세 관련 연구기관인 (구)지방세연구소를 모태로 출범하였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 세무학과 및 세무전문대학원 소속 교수들을 연구위원으로 위촉하여 교수 중심의 연구체제를 확립해 나가고 있으며, 세법,

세무회계 및 조세정책을 전공하는 연구위원들이 연구과제의 학제적 성격과 이상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조세재정연구소는 세무학

연구과제의 성격에 부합하는 연구진을 구성하여 질 높은 연구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조세재정연구소
http://tri.uos.ac.kr   02.6490.5030

시민의 안전한 생활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도시방재안전연구소는 그동안 대형 도시재난 분야는 물론 화생방·테러 등을 비롯한

위기관리 분야, 그리고 월드컵경기장이나 지하철 및 지하공동구 등의 수십 가지 유형의 재난에 대한 방재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적·

구조적 대안은 물론 제도적, 경영시스템적인 대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서울시의 위기관리 능력의 극대화를 도모

하여 국제적으로 최선진 수준의 안전경쟁력을 창출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도시방재안전연구소
http://firesafety.uos.ac.kr   02.6490.5375

과학기술부 주관 ’98 창의적연구진흥사업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양자정보처리연구단은 미래 정보화사회를 선도할 양자정보처리기술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개발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연구 기관입니다. ’98 창의적 연구진흥사업의 효율적 수행 및 2007년 ‘도약연구’ 선정,

우수인력 활용 및 국제적인 연구기관으로의 위상정립, 산학 관련 프로젝트 및 국책과제 유치기반 마련, 반도체 산업계와의 연대를 통한 국제

경쟁력에 기여, 국가 산업기술정책에 대한 자문활용, 기타 연구단의 연구목적과 관련된 사업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국가산업발전에 기여

함으로써 다가올 초고속 대용량 정보처리사회로의 도약을 위한 기술적인 핵심구성요소의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양자정보처리연구단

02.6490.5388

도시홍수연구소는 서울시 도시홍수 관련 Brain Bank 역할을 담당하는 연구기관으로서, 국내·외 관련 연구기관과의 협동연구 및 교류사업,

서울시 및 외부기관의 도시홍수 정책에 관한 자문활동 등 도시홍수방어를 위한 학술활동 및 연구를 통하여 서울시 상황에 맞는 도시홍수

방재 관련 연구를 일관되게 수행하며, 도시방재기술의 선진화와 과학화를 통한 재난 피해의 최소화 및 시민신뢰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도시홍수연구소

http://flood.uos.ac.kr   02.6490.5600~3

53

52

Research Institute

부설연구소


background imag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해

산업교육을 진흥하고 산학협력을 촉진함으로써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경쟁력 있는 인재

양성과  교수  연구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관리하여  지역사회와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산학협력단에서는 대학, 산업체, 연구소, 정부, 지방

자치단체, 정부출연기관 및 산업체 등이 상호 협력하여 산업체의 수요와 미래의 발전에

부응하는 인력을 양성하고자 새로운 지식, 기술의 창출 및 확산을 위해 산·학·연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첨단정보의 교류 및 대학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http://research.uos.ac.kr   02.6490.6363~5

동문, 교수, 직원 및 학부모, 개인, 기업체 등 서울시립대학교를 사랑하는 누구나 대학

발전기금 조성에 참여하실 수 있으며 현금, 주식, 유가증권, 부동산, 현물 등 어떤 형태

로도  기부가  가능합니다.  기부하여  주신  소중한  금액은  발전기금  재단의  목적사업

지원에 사용됩니다. 목적사업의 범위 안에서 기부자의 의사에 따라 세부적으로 지정

하실 수 있습니다.

(재)서울시립대발전기금

http://fund.uos.ac.kr   02.6490.6321~2, 6313

[목적사업]

•학술연구활동 지원사업

•장학금 지원사업

•학술·연구기자재 구입 및 시설확충사업

•후생복지시설 확충사업

•강촌수련원 시설설치 및 운영사업

•대학문화, 체육 및 홍보활동 지원사업

Corporate Body
법인기관


background image

식당/카페
학생식당은 자연과학관 1층과 학생회관 1층, 학생회관 2층 ‘아느칸(양식당)’이, 본관 8층에는 교직원

식당이 모두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들 식당은 모두 합쳐 2,833.5㎡의 면적에 이르며,

총 975석으로 1일 평균 6,000여명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학생회관

[B1] 편의점, 복사점, 문구점, 안경점

[1층] 학생회관 식당, 우체국, 기념품 매장, ATM기

[2층] 아느칸(양식당), 그리고 휴(休) 카페·중앙도서관 [B1] 편의점

•법학관

[3층] RT라운지, 제과점

•전농관

[1층] 카페

•자연과학관

[1층] 식당, Cafe

•미래관

[1층] 편의점, 카페

•100주년기념관

[3층] 제과점

강촌수련원
http://rivervalley.uos.ac.kr 033.262.1355~6

서울시립대학교  강촌수련원은  동문,  교내  구성원,  기업  등  서울시립대학교를  사랑하는  분들의

기부금으로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에 2010년 10월 개원했습니다. 북한강과 검봉산을 앞뒤에

두고 있는 자연권 수련시설로 청소년들의 호연지기를 기르고 기성세대들의 심신을 재충전할 수

있는 교육과 휴식의 공간입니다. 맑은 공기를 마시며 평소 경험하지 못한 깨끗한 자연의 품에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강인한 정신력과 체력을 단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주소_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북한강변길 812-39(강촌리 641-4)

57

Facilities
편의시설


background image

북아메리카 (55)

미국 (47)

• University of Akron 

• Morehead State University 

•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 University of Washington

• Chicago State University

• Miami University

• Ohio State University

• University of Kansas

• Utah State University

•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 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

•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  Rutgers University Camden Campus, Department of Fine Arts

•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 Asia-Pacific College

• Th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 University of Central Missouri

• University of Louisville

• University of Iowa

•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Pembroke

• City University of New York, City College 

• Wayne State University

• University of West Georgia

• San Diego State University

• Florida Institute of Technology 

• Montclair State University

• California State University at Fullerton

• George Mason University

• California State University at Los Angeles 

•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Minnesota State University

• University of Missouri, Kansas City

• University of Georgia

• Weber State University

• Mercer University

• University of Delaware

•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 Northeastern Illinois University

•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 Georgia State University

• CUNY College of Staten Island

• San Jose State University

• Southern Connecticut State University

•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n Bernardino

• Georgia College and State University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캐나다 (8)

• University of Calgary

• University of Victoria

• Brock University

• Saint Mary’s University

•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 Trent University

• Royal Roads Univeristy

• British Columbia Institute of Technology

아시아 (131)

일본 (28)

• Tokyo Metropolitan University

•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 Tokyo Gakugei University

• Prefectural University of Hiroshima

• Meiji Gakuin University

• Ritsumeikan University

• University of the Ryukyus

• Rikkyo University

• Osaka University

• Nagoya University

• The University of Aizu

• Wayo Women’s University

• Doshisha University

• Kumamoto University

• Miyazaki International College

• Osaka City University

• Yamaguchi University

• Kwansei Gakuin University

• Hokkaido University

• Fukushima University

• Prefectural University of Kumamoto

• Kanda University of International Studies

• Tokyo University of Science

• Hosei University

• Gakushuin University

• Chiba University

• Kindai University

• Nayoro City University

중국 (43)

• Shanghai Jiaotong University

• Beijing Union University

• Fudan University

• Zheng Zhou University of Light Industry

• Zhejiang University

• Renmin University of China

• University of Hong Kong

• Tongji University •Beijing Normal University

• Jilin University 

• Shandong University at Weihai

• Jilin Normal University

• Tsinghua University 

• Wuhan University 

• Xi’an Jiaotong University

• Yanbian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The Hongkong Polytechnic University 

• Shenzhen University

• United International College

• Yanbian University

• Nanjing University

• Northwest University

•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 Shanghai University 

• Sun Yat-Sen University

• Hebei University of Technology

• 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at Weihai

• Wuhan University of Technology

• The Hong Kong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Maucau

• North China Electric Power University

•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 Qingdao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Zhejiang Gongshang University

• Jiangsu University

• Central University of Finance and Economics

• Capital Normal University

• Shaanxi Normal University

• Lingnan University

• Xi’an Jiaotong-Liverpool University

• Minzu University of China

•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 Dalian Minzu University

타이완 (10)

•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Soochow University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 Southern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

• Chung Hua University

• National Chung Hsing University

• Fu Jen Catholic University

• National Dong Hwa University

• National Changhua University of Education

우크라이나 (1)

•  National Technical University of Ukraine 

 ‘Kyiv Polytechnic Institute’

몽골 (3)

• 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 Mongolian University of Life Sciences

• Mongol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카자흐스탄 (4)

• L.N. Gumilyov Eurasian National University •KazGASA

•  Kazakhstan Institute of Management, Economics, and Strategic 

 Research

• Nazarbayev University

키르기즈스탄 (1)

• Kyrgyz National University

이스라엘 (2)

• Academic Center of Law & Business 

• Tel Aviv University

아제르바이잔 (1)

• Khazar University

태국 (9)

• Assumption University

• National Institute of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 Thammasat University

• Chulalongkorn University

• Burapha University 

•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

• Naresuan University

•  KMUTT (King Mongkut’s University of Technology Thonburi)

• Rangsit University

베트남 (10)

• Hanoi University of Mining and Geology

• Institute of Geological Sciences - Vietnam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 University of Economics Ho Chi Minh City 

• Foreign Trade University

• HCMU International University

•  HCMC University of Technolog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 National Academy of Public Administration

• FPT University

• Phenikaa University

라오스 (1)

• National University of Laos

캄보디아 (1)

• University of Bat ambang

말레이시아 (4)

• University of Malaya

• University Utara Malaysia

• Taylor’s University

• Universiti Malaysia Kelantan

싱가포르 (2)

•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 Nanyang Polytechnic

필리핀 (3)

•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 Miriam College

인도네시아 (4)

• Bogor Agricultural University

• Institut Teknologi Bandung

• Universitas Gadjah Mada

• Parahyangan Catholic University

Global Network
국제 교류(57개국 305개교)

스리랑카 (1)

•University of Moratuwa

요르단 (1)

• Jord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인도 (1)

• Jawaharlal Nehru University

방글라데시 (1)

• Daffodil International University

유럽 (96)

영국 (8)

• University College London 

• Aston University

•  University of London-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 Anglia Ruskin University 

• Nottingham Trent University

• University of Edinburgh

• Robert Gordon University

• University of Northumbriay 

프랑스 (12)

• The Institute of Political Studies of Rennes 

• EPITA

• Euromed Management

• ISG Paris

• University of Tours •University of Rennes 1 - IGR •Sciences Po Lille

• University of Grenoble Alpes

• University of Caen Normandy

• Sciences Po Strasbourg

• Toulouse Business School

• Rennes 2 University

독일 (14)

• Hochschule Ostwestfalen-Lippe

•  Max Planck Institute for Foreign and International Criminal Law

• University of Cologne

• Berlin University of Technology

• University of Stuttgart

• University of Mannheim

• University of Heidelberg 

• Karlsruhe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Technical University of Cologne

• University of Oldenburg

• Osnabruck University

• European University Viadrina, Frankfurt (Oder)

• Clausthal University of Technology

• University of Wurzburg

네덜란드 (10)

• Werkplaats Typografie, ArtEZ Institute of the Arts 

• Saxio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Utrecht 

• The Hague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Radboud University Nijmegen

• Tio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Amsterdam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Fontys University of Applied of Sciences

스페인 (8)

• University of Granada

• University of Málaga

• Universidad Carlos III de Madrid

• University of Jaen

• Universidad Politecnica de Madrid 

• University of Almeria

• Universitat Autonoma de Barcelona

• University of Barcelona

• Universidad Catolica San Antonio de Murcia

• University of Burgos

스페인 (8)

• University of Granada

• University of Málaga

• Universidad Carlos III de Madrid

• University of Jaen

• Universidad Politecnica de Madrid 

• University of Almeria

• Universitat Autonoma de Barcelona

• University of Barcelona

• Universidad Catolica San Antonio de Murcia

• University of Burgos

포르투갈 (3)

• ISCTE

• Catholic University of Portugal

• University of Porto

스웨덴 (2)

• Södertörns Högskola University College 

• Halmstad University

핀란드 (3)

• Oulu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Turku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Lahti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체코 (2)

• Czech Technical University in Prague

• University of Ostrava

헝가리 (5)

• Budapest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conomics

• College For Foreign Trade, Budapest 

• Budapest University of Economic Science 

• Eotvos Lorand University

• Budapest Metropolitan University

그리스(2)

• National Technical University of Athens

• National and Kapodistrian University of Athens

리투아니아 (1)

• Vilnius University

폴란드 (3)

• University of LODZ

• Jagiellonian University

• Cracow University of Economics

슬로베니아 (1)

• University of Ljubljana

오스트리아 (1)

•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Wiener Neustadt

이탈리아 (1)

• University of Verona

터키 (7)

• Istanbul Technical University

• Istanbul University

• Ankara University

• Kadir Has University

• Koc University

• Dokuz Eylul University

• Sabanci University

벨기에 (3)

• Ghent University

• Vrije Universiteit Brussel

• Karel de Grote University College

러시아 (5)

• Moscow State University 

• M.V.Lomonosov Moscow State University

• Moscow State University of Geodesy and Cartography

• Saint-Petersburg State University of Service and Economics

• Far Eastern Federal University

덴마크 (2)

• Aalborg University

• VIA University College

크로아티아 (2)

• Algebra University College

• University of Zadar

벨라루스 (1)

• Belarussian National Technical University

스위스 (1)

• Zurich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School of Engineering

오세아니아 (5)

호주 (5)

•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 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 •Monash University

•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라틴아메리카 (15)

멕시코 (3)

• University of Guadalajara 

• Tecnologico de Monterrey

• The Autonomous University of the State of Mexico

브라질 (2)

• Universidade Estadual Paulista

• The Federal University of ABC

콜롬비아 (2)

• National University of Columbia

• Universidad del Rosario

칠레 (4)

• University of Chile 

• University of Desarrollo 

• University Finis Terrae 

• Central University of Chile

페루 (1)

• Universidad San Ignacio de Loyola

코스타리카 (1)

• University of Costa Rica

파나마 (1)

• University of Panama

에콰도르 (1)

• Escuela Politecnica Nacional

아프리카 (3)

에티오피아 (2)

• Adama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 Kotebe Metropolitan University

이집트 (1)

•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2019년 3월 기준)

59

58


background image

Campus Map
캠퍼스 안내도

청량리 (서울시립대 입구) 역 [1호선] 
④번, ⑤번 출구 

▶  롯데백화점 앞에서 노선버스 2230, 2311, 3216, 121, 420, 3220, 720번 서울시립대 앞 (3번째 정거장) 하차

회기역 [1호선]
서울시립대 [후문] 1호선 회기역 ②번 출구 

▶  안내표지판(노면에 화살표시)을 따라 도보로 15분

University of 

Seoul

1  전농관

2  제 1공학관

3  건설공학관

4  창공관

5  인문학관

6  배봉관

7  본관(대학본부)

8  자연과학관

9  음악관

10  경농관

11  제 2공학관

12  학생회관

13  언무관(학군단)

27  대강당

28  운동장

29  박물관

30  정문

31  후문

32  웰니스센터

33  미래관

34  국제학사

35  어린이집

A  하늘못

B  테니스장

C  자주터

D  시대동산

14  과학기술관

15  21세기관

16  조형관

17  100주년 기념관

18  자작마루

19  정보기술관

20  법학관

21  중앙도서관

22  생활관

23  건축구조실험동

24  토목구조실험동

25  미디어관

26  자동화온실

7

대학본부

12

학생회관

중앙도서관

9

음악관

21

100주년기념관

22·34

생활관&국제학사

10

경농관

18

자작마루

27

대강당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 
서울시립대학교

61

60

17